조성민,윤천성(2019). 칭찬리더십 요인 타당성 연구,평생교육리더십연구,6(2),5-24.
칭찬리더십 요인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Validity of Praise Leadership Factors
조성민, 윤천성
초록
본 연구는 칭찬리더십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칭찬리더십 요인을 개발하여 타당 도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칭찬과 리더십에 대한 관련 이론 들과 칭찬리더십 요인에 맞는 주제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3차에 걸친 문항 선정 과정을 통해 긍정심(14문항), 자아개념(60문항), 창의성(24문항)등 총 98문항을 선정하였고 설문을 실시하 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칭찬리더십의 각 요인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는 0.9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는 KM0-0.959, Bartletts test=11310.711(ar=1653, pK.001) 로 요인분석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자료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요인수는 3가지의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요인 절대값은 ±0.40 이상이 확보되었고, 요인분석의 결과 58문항이 분석되었다. 각 요인간에 상관관계를 알아 본 결과는 창의성은 자아개념과 유의미한 정(+) 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창의성은 긍정심과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개념은 긍정심과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칭찬리더십 요인 타당성을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칭찬리더십 척도를 개발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양한 표집을 통해 분석이 이루어졌다는 점과 칭찬리더십 개념을 정의하고 요인을 추출하여 신뢰도와 타당성 을 검증하였다는 점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praise leadership and to develop the praise leadership factor based on this to verify the validity.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98 items including positive mind (14 items), self-concept (60 items), and creativity (24 items) through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items through the third round based on the related theories on praise and leadership and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themes that fit the praise leadership factors.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conducting a survey. The reliability analysis results of each factor of praise leadership were over 0.90, an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were KMO=0.959, Bartlett’s test=11310.711 (df=1653, p<.001), which was confirmed to be suitable for factor analysis. In addition, the number of factors was found to be three factors, and the absolute value of factors was secured over £0.40, and 58 item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creativ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concept, and creativ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mind. Also, self-concep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mind. Through the process of verifying the validity of praise leadership factors,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basic data for developing praise leadership scale.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various sampling and the concept of praise leadership was defined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by extracting factors.
목차
주제어 : 칭찬, 리더십, 칭찬리더
논문 원문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