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리더십연구 제1권 2호, 2014.12.31, 89-108, ( 19 pages )
지적장애직업재활작업장에서 미술치료가 위축행동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 임상실천평가를 단일체계설계로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case study on shrinkage behavior and self-expression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김길옥
한국어 초록
지적장애인의 위축행동 감소와 자기표현의 증가는 사회에 적응하고 사회인으로 자립하 여 인간관계를 형성함에 있어 중요한 기제라 판단된다. 미술치료는 미술활동을 통해 감정 이나 내면세계를 표현하고 기분의 이완과 감정적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자아성장을 촉진시 킨다. 특히 미술치료는 말로 표현하기 힘든 느낌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해 말과 언어 에 곤란을 겪는 지적장애인에게 충분한 효과를 거둘 것이라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 미술치료 활동이 위축행동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검증을 위해 지적장애인보호작업장의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지적장애인이라는 점을 고려해 미술활동과 관찰기록을 병행해 변화되는 모습을 검증하 였다.
초기에 수동적이며 위축된 자세를 보였지만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위축행동은 점차 감 소하였으며 자기표현은 증가하였다. 이는 다양한 재료와 매체를 조작하는 성취 경험은 지 적장애인으로 하여금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고립감에서 벗어남으로써 공동체 안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느끼게 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단기간 활동으로 높은 향상을 이끌어 내는데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향후 지 적장애인 특성을 고려한 심층적이며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장기간의 연구를 통해 지적장애인의 재활과 사회생활 적응을 돕고 지적장애인들이 행복한 삶을 영 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reduced withdrawn behavior and increased self‐ expression are believed to be important for their adaptation to society, independence as a social person, and establishment of human relations. Art therapy promotes the participants’ self‐growth by inducing them to express their emotions or internal world, to relax their feeling, and to ease their emotional stress through fine art activities. In particular, art therapy is expected to produce satisfactory effects for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who have difficulty in speech and language by helping them express their feelings and thoughts that they cannot express verbally. Thus,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rt therapy activities on withdrawn behavior and self‐ express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ampled from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working at sheltered workshop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consideration of their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changes resulting from fine art activities were observed and recorded.
At the beginning, they showed a passive and withdrawn attitude, but with the repetition of sessions, their withdrawn behavior decreased and self‐expression increased gradually. This may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experience of achievement from manipulating various materials and media leads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to feel positive emotions, to get away from isolation, and ultimately to feel their presence in community.
This study, applying short‐term activities, has a limitation in inducing remarkable improvement. In the future research, we expect to contribute to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s rehabilitation and adaptation to social life and ultimately to their happier life through long‐term application of a program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and using more diverse media.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 기초자료 분석
논의 및 결론
키워드
지적장애인, 미술치료, 위축행동, 자기표현
논문 원문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