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기의 셀프리더십과 삶의 질에 관계에서 사회활동의 조절효과연구 / 김길옥, 윤천성

평생교육리더십연구 제2권 2호, 2015.12.31, 33-59, ( 26 pages )

중년기의 셀프리더십과 삶의 질에 관계에서 사회활동의 조절효과연구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Activi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the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

김길옥, 윤천성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현 우리 사회의 초고령화 사회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인간의 발달과정에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하는 중년기의 셀프리더십과 삶의 질에 관계에서 사회활동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자신과 사회에서 현재 왕성한 사회활동을 하고 있는 이 세대가 자신을 잘 돌아보고 문제 또는 위기감에서 인생의 좋은 전환점이 무엇인가를 아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현재 사회활동 중인 중년기를 대상으로 즉석에서 설문지를 219부를 배부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2부를 제외한 217부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v.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회활동 참여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절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의 셀프리더십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 결과 중년기의 신체적 만족에 있어서는 셀프리더십의 하위 요인별 행동 중심적 전략, 자연적 보상전략, 건설적 사고전략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중년기의 사회활동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순 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 결과는 신체적 만족, 심리적 만족, 사회적 만족, 환경적 만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년기의 사회활동 참여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중년기의 셀프리더십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사회활동 참여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변수로 셀프리더십을 모델 Ⅰ에, 조절 변수로 사회활동 참여를 모델 Ⅱ에, 셀프리더십과 사회활동 참여의 상호작용 변수를 모델 Ⅲ에 차례로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결과는 사회활동에서의 여가활동과 같은 신체적 만족에서만 조절 효과가 있고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으로는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결과적으로 사회활동은 삶의 질에 영향은 주지만 중년기에는 셀프리더십과 같은 정신적인 면이 더 강조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향후 연구에는 여러 종류의 직업군과 연령층의 단위를 축소하여 연구를 한다면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초고령화 사회로 가는 시점에서 중년기의 여러 가지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다면 바람직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response to the current transition of our society to a super-aged societ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ee what effect social activities ha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the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 which play an important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of human development.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to get basic information for this generation, which are engaged in active social activities in themselves and in the society, to reflect on themselves and to find a good turning point of life in the middle of a problem or crisi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middle-aged people who were currently engaged in social activities, and in the survey, 219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with two excluded for insincere answers, 217 questionnaires were used as valid data in the analyses.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v. 18.0. The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was tested through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es made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for testing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in middle age on the quality of life, the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such as behavior focused strategies, natural reward strategies, and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for physical satisfaction in middle age.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imple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in middle age on the quality of life, physic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hat i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in middle age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whether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the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 by putting self-leadership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Model I,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s a moderating variable in Model II, and self-leadership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s interaction variables in Model III,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ad a moderating effect only on physical satisfaction such as leisure activities but not on psychological, social, or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social activities have an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but in middle age, mental factors such as self-leadership are emphasized more.
In future studies, we may expect better results by covering more diverse occupational categories and specific age groups.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our society into a super-aged society, in addition, it will be desirable to conduct various studies on people in middle age.

목차
서론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

주제어 : 중년기, 성격유형, 삶의 질, 사회활동


논문 원문 PDF

답글 남기기